본문 바로가기
건강사전

[건강꿀팁] 심폐소생술 CPR 단계별 순서 사용방법 일반인 쉽게 따라하기

by 로카로카 2022. 11. 13.

심폐소생술은 생명이 위기에 있는 순간에 아주 골든타임 내에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행위로 일반인들도 필수로 알면 좋은 구조 방법 중에 하나이다. 오늘은 위급상황에 생명을 구할 심폐소생술의 순서와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절차 마지막으로 공식 심폐소생술 교육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심폐소생술? 무엇인가요?


심정지가 된 환자에서 정지된 심장을 대신하여 뇌와 , 신장에 산소를 머금은 혈액을 공급해주는 응급처치 방법이다. 심정지가 이루어진 상황에서 조치가 늦어지면 4-5분 이내로 뇌손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심정지 초기 대응은 매우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이다. 이에 심정지 환자에 대한 발견 즉시 초기 목격자가 곧바로 심폐 소생술을 시행하느냐에 따라 소생률이 3배 이상 증가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이다. 더불어 심정지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대부분 가정이 5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1. 심폐소생술의 순서와 방법


  환자의 반응 확인

먼저 사고 현장에서 양쪽 어깨를 두드려 반응(의식) 호흡 상태를 확인한다. 

 

  119 신고 진행 도움 요청

가장 먼저 119에 신고 하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다. 주변의 사람의 많은 경우 그저 도움을 외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1명을 지정하여 요청하는 것이 빠른 도움과 신고에 도움이 된다.

 

119에 신고할 때는 발견 장소 현상황을 정확히 알리도록 한다. 제세동기도 함께 요청한다.

 

 

③ 가습압박의 위치 찾기

양손의 깍지를 끼고 손꿈치로 가슴 중앙 명치를 압박하되 손가락 끝이 몸에 닿지 않도록 한다.

 

★ 가슴압박 위치 ★
- 흉골(가슴뼈) 1/2 아랫부분)
- 성인 기준 양쪽 유두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슴뼈가 교차되는 지점 "젖꼭지 연결선"

 

심폐소생술 압박위치에 대한 설명 사진
심폐소생술 압박 위치 -  출처: 소방청 홈페이지

 

 가슴압박 30회 시행

심폐소생술 시행자의 팔이 바닥과 수직을 이루게 팔꿈치를 펴서 체중을 이용해 가슴압박을 시행

가슴압박은 1분 100회 ~120회의 속도로 진행하며 5~6CM 정도로 압박이 전달 되록 강하게 30회 시행

 

 

 기도 유지 후 인공호흡 2회 시행

- 환자의 고개를 젖혀 호흡이 전달되도록 기도 개방

- 환자의 코를 막고 밀착하여 인공호흡 진행, 호흡이 잘 들어가서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꼭 확인

- 1초씩 총 2회 진행

 

 

 가슴압박 + 인공호흡 함께 하기

★ 시행비율 : 가습압박 30회 + 인공호흡 2회  ( 30:2 )  번갈아가면서 시행

제세동기 OR 119가 오기 전까지 계속 반본

 

 

⑦ 회복자세

환자의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옆으로 눕혀서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자세 변경

심폐 소생술을 진행한 환자는 심정지로부터 소생된 상태이기에 꼭 의료기간으로 이송 필요

 

 

 

누구나 어디에서든 심정지 환자를 만날 가능성은 매우 높다 특히 우리 가족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심폐소생술의 순서를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이에 중요성을 인지하고스스로 배움의 기회를 찾는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추가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 신청하는 법을 알아보고 전문기관을 통하여 숙지하는 기회를 갖는 것도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자동심장충격기 (AED) 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건강꿀팁] 자동심장충격기(AED) 단계별 순서 사용방법 일반인 쉽게 따라하기

심폐소생술과 함께 자동심장 충격기는 생명이 위기에 있는 순간에 아주 골든타임 내에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행위이다. 심폐소생술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환자를

wow-wal.tistory.com

※ 일반일 심폐소생술 교육 신청 ▼

 

 

 

[건강사전] 일반인 심폐소생술(CPR) 교육 _ 소중한 생명을 구하는 소중한 교육

공포의 급성 심장정지 상황 우리나라에서만 매년 3만 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태원 사고 소식으로 아직도 마음의 충격과 슬픔이 가시지 않았지만 심폐소생술(CPR)을

wow-wal.tistory.com

 

댓글